항공업계, 커지는 '고용불안'…"고용유지지원금 연장해야"
-항공업계, 고용유지지원금 6개월 지나…8~9월 '한계점' -LCC 사장단, 정부 지원 연장 '호소'…'실업대란' 막을까 항공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이후 정부 지원으로 버텨왔지만, 이마저도 끊길 위기에 놓이자 본격 행동에 나섰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플라이강원 등 LCC(저비용항공사) 7개사 사장단은 이날 오전 11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인 송옥주 의원을 만나 간담회를 가졌다. 오는 9월 항공업계의 실업대란을 막기 위해서는 유급휴직을 지원하는 고용유지지원금의 기한을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LCC 사장단은 정부의 적극적 고용대책, 회사의 자구노력, 직원들의 고통분담을 통해 단 한 명의 해고도 없이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자고 건의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항공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고, 항공사에 고용유지지원금을 최대 90%까지 지원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 같은 결정에 따라 국적사 가운데 M&A가 진행 중인 이스타항공을 제외하고, 나머지 7개 항공사는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해 유급휴직을 시행 중이다. 다만, 아시아나항공은 고용유지지원금을 통한 유급휴직과 함께, 일부 무급휴직을 병행 중이다. 정부가 정한 방침에 따라 사업주가 근로자를 줄이지 않고 휴업 및 휴직 등으로 고용을 유지하는 조건하에 기본급의 70%를 최대 6개월간 지원받는 게 골자다. 문제는 정부의 지원으로 버텨오던 항공사들이 고용유지지원금마저 곧 끊길 예정이라는 데 있다. 업계에 따르면 항공사마다 상이하긴 하지만, 대부분 오는 8~9월 사이에 최대 지원 기간인 6개월이 끝난다. 그러나 여전히 코로나19의 여파로 국제선을 못 띄우는 상황에서, 정부 지원이 중단될 경우 무급휴직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기 운항과 화물 수송 확대, 국내선 취항 등으로 수익성 제고에 나선다지만 경영이 정상화되기까지는 요원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항공사들은 기본급의 70%를 지급하고 있다. 그 중에 4분의 3을 정부에서 지원해주고, 나머지를 회사에서 부담한다"며 "핵심은 고용유지지원금이 항공사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거의 8월말에서 9월 중순에 지원이 끝난다. 그래서 그 부분을 연장해달라는 게 가장 크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고용유지지원금의 6개월 지급 기한이 지난 이후에는 사실상 무급휴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코로나19 사태가 언제 종식될 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구조조정에 따른 실업대란의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통상 기업의 경영난이 심화될 경우, 인력 구조조정을 통한 고정비 절감이 가장 먼저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미 고용유지지원금을 신청하지 않은 채, 제주항공과의 인수합병 절차를 밟던 이스타항공은 파산으로 직원 약 1600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