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NH아문디 “AI發 원전 수요, 국내 기업에 기회”…ETF로 테마 투자 제시

NH-Amundi자산운용이 '9월 HANARO ETF Monthly Report'를 발간했다. 10일 발표된 리포트에는 인공지능(AI) 확산과 글로벌 에너지 안보 이슈 속 원자력이 전략자산으로 주목받는 흐름을 분석하고 국내 원전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담겼다. NH-Amundi자산운용은 '매그니피센트 7(M7)'로 불리는 주요 기술 기업들은 상반기에도 여전히 데이터센터 확대에 막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전력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원자력이 에너지 공급을 위한 핵심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들이 소형모듈원자로(SMR) 전력 구매 계약이나 투자에 나선 것도 이러한 이유로 보인다. 아마존은 엑스에너지(X-energy)와 구글은 카이로스 파워(Kairos Power)와 협력 중이다. 특히 X-energy는 두산에너빌리티가 지분을 가진 기업으로 글로벌 빅테크의 원전 투자가 국내 기업에도 직간접적인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리포트는 체코 원전 사업과 관련해 한국수력원자력을 대표로 한 '팀 코리아'와 웨스팅하우스 간 계약 논란을 언급했다. 일부 지역에서 신규 수주 활동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나 양사 간 합작회사(JV) 설립 가능성이 거론되며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앞서 체코가 웨스팅하우스와 프랑스전력공사(EDF)를 제치고 팀 코리아를 선택하면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입증됐다. JV가 성사되면 미국은 동유럽 등 전략 지역에서 원전 건설을 이어가며 패권을 유지할 수 있고 국내 기업은 지식재산권 분쟁 해소와 다양한 수주 확보가 가능해 상호 보완적 구조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NH-Amundi자산운용은 국내 원자력 기업의 글로벌 진출 수혜를 담을 수 있는 상품으로 'HANARO 원자력iSelect ETF'를 제시했다. 해당 ETF는 한국전력, 두산에너빌리티, HD현대일렉트릭 등 국내 원자력 및 전력 인프라 대표 기업들로 구성돼 글로벌 원자력 산업 성장의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들에 폭넓게 투자할 수 있다. 김승철 NH-Amundi자산운용 ETF투자본부장은 "향후 도래할 원자력 르네상스 시대에 국내 원전 기업들의 글로벌 위상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HANARO 원자력iSelect ETF를 통해 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국내 원자력 테마 투자에 참여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9-10 11:50:5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방시혁은 경찰 소환, 박진영은 위원장 내정…JYP 달릴 때 하이브 뒷걸음질

국내 대표 엔터사들의 주가가 엇갈리고 있다. 코스피·코스닥 랠리에 힘입어 에스엠과 JYP Ent.(JYP엔터테인먼트)는 강세 흐름을 보였지만, 하이브는 방시혁 의장의 사법 리스크에 발목이 잡혀 상승세에 올라타지 못했다. 특히 경찰이 방시혁 하이브 의장을 오는 15일 소환 조사하기로 하면서 주가 불확실성이 올라가는 모습이다. 10일 오전 10시 39분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하이브는 28만8500원으로 전일 대비 0.52% 하락했다. 반면 JYP엔터테인먼트는 7만6900원으로 2.53% 오르며 상승 탄력을 이어갔고, 에스엠은 14만1000원으로 1.59% 상승했다. 특히 JYP엔터테인먼트는 이날 장중 8만100원까지 오르며 지난달 21일 이후 처음으로 8만원선을 돌파했다. 전일 정규장 마감 후 애프터마켓에서는 6.87% 오른 8만900원까지 올랐다. 대통령실은 전날 대중문화교류위원회를 신설하고 공동위원장에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박진영 프로듀서(JYP엔터테인먼트 대표)를 내정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와 상반된 분위기로, 시장에서는 하이브의 주가 부진은 방 의장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는 의견이 나온다. 경찰은 방 의장을 하이브 상장 과정에서 투자자를 속여 지분을 매각하게 하고, 상장 후 2000억~4000억원대 이익을 챙겼다는 의혹을 오는 15일 조사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역시 사기적 부정거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하이브는 주가를 끌어올릴 만한 호재를 동시에 안고 있다. BTS 완전체가 2026년 봄 컴백과 월드투어 재개를 공식화했고, 올해 2분기 매출(7057억원)과 영업이익(659억원)은 각각 전년 대비 10%, 29% 성장했다. BTS 공백기에도 세븐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르세라핌 등이 글로벌 투어로 실적을 메웠다. 현대차증권은 하이브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35만원을 유지하며 "3분기 공연 모객 150만명, 음반 판매 851만장으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주주들 사이에서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방시혁 의장 리스크가 주가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박진영 대표는 장관급 대통령 직속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위원장에 내정돼서 '주가 불기둥' 올리는데 하이브는 걱정이다" 등과 같은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9-10 11:28:4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카드News] 신한카드·NH농협카드·KB국민카드

신한카드가 스키장 통합 이용권을 판매한다. ◆전국 5개 주요 스키장 무제한 이용 신한카드는 통합 스키시즌권 'X5+시즌패스'를 신한쏠페이에서 단독 판매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X5+시즌패스는 모나용평, 하이원리조트, 지산포레스트리조트, 웰리힐리파크, 엘리시안 강촌 등 전국 5개 주요 스키장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이용권이다. 내년 초 스키장 폐장일까지 구매할 수 있다. 1차 판매는 이달 25일까지다. 이 기간 성인권 및 청소년권을 각각 3만 9000원, 2만 6000원 할인받을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19세 이하 자녀가 있는 성인이 성인권 구매 시 발급비 5만원을 부담하면 '자녀무료시즌패스' 1매를 받을 수 있다. 통합 이용권은 모든 카드사 카드 결제 및 실시간 계좌이체로 구매할 수 있다. 신한카드로 결제 시, 0.5% 마이신한포인트를 적립해 준다. 신한 디스카운트 플랜 카드로 결제하면 최대 19만원 캐시백 혜택도 받을 수 있다. NH농협카드가 해외여행객을 위한 이벤트를 연다. ◆이용 금액 10% 캐시백 NH농협카드는 해외 이용 고객을 위해 10% 캐시백을 제공하고, 해외여행 인기 국가별 맞춤형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먼저 내달 13일까지 '해외에서 농카쓰고 캐시백 받아가세요!' 이벤트를 진행한다. 해외 온ㆍ오프라인 가맹점에서 NH농협 개인카드 이용 시 이용금액의 10%를 캐시백으로 돌려준다. 한도는 5만원이며, 이벤트 페이지를 통한 응모가 필수다. 이 외에도 일본, 베트남, 중국에 특화된 이벤트를 모아 '꿀혜택 모음zip'도 안내한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유의사항은 NH페이 애플리케이션 또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NH농협카드 관계자는 "해외에서도 NH농협카드의 꿀 혜택을 드리기 위해 이번 이벤트를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소비생활에 꼭 필요한 혜택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B국민카드가 다가오는 추석맞이 선물세트 할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마트서 최대 50% 할인 혜택 KB국민카드는 다가오는 추석을 맞이해 선물세트 할인 및 무이자 할부 행사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먼저, 내달 6일까지 이마트를 이용하는 KB국민카드 고객을 대상으로 명절 선물세트 최대 50% 할인을 제공한다. 구매 구간별로 최대 150만원 상품권 증정 또는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같은 기간 이마트에브리데이, 롯데마트에서 명절 선물세트 할인 혜택을 각각 50%, 30%씩 제공한다. 농협하나로마트에서는 내달 9일까지 선물세트 구매 시 즉시 할인을 제공하고, 내달 5일까지 구매 구간별로 최대 100만원 농촌사랑상품권을 증정한다. 백화점 이용 고객을 위한 할인 혜택도 마련됐다. 롯데백화점 전 지점에서 이달 22일부터 내달 4일까지 당일 식품선물세트 합산 30~60만원 이상 결제시 2~4만원 롯데모바일 상품권을 증정한다. 현대백화점 전 지점에서는 이달 16일부터 내달 5일까지 명절 선물세트 합산 20~40만원 구매 시 1~2만원 상품권 또는 에이치 포인트(H.Point)를 지급한다. /안재선기자 wotjs4187@metroseoul.co.kr

2025-09-10 11:23:07 안재선 기자
기사사진
코스피, 장중 3300선 뚫었다...4년 2개월 만에 최고치

코스피가 장중 3300선을 돌파하면서 연고점을 재차 경신했다. 코스피가 3300포인트를 넘긴 것은 4년 2개월 만이다. 정부가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 더불어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호재가 맞물린 영향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5분 기준 코스피는 전일 대비 34.39포인트(1.05%) 오른 3294.44를 기록하고 있다. 장중 3306.34까지 오르면서 연고점(3288.26)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21년 7월 6일 종가(3305.21) 이후 최고치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2364억원, 3245억원씩 순매수하고 있다. 개인은 5621억원을 순매도 중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연고점 경신의 정책적인 배경은 세제개편안 기대감에서 기인한다"며 "전일 대통령실에서 대주주 양도세를 원안 10억원에서 현행 50억원 유지로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그는 "최종 결정은 11일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나올 예정이나, 2거래일간 증권, 지주, 보험 등 정책 수혜주 강세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이미 시장은 대주주 양도세 이슈를 주가에 반영하고 있는 상태"라며 "11월 조세 소위에서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슈도 마찬가지"라고 분석했다. 김현지 DS투자증권 연구원도 "최근 증시는 대통령실이 양도 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과 근시일 내에 정부 입장을 발표하겠다는 발언에 정책 되돌림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며 "2거래일 연속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반도체주인 SK하이닉스(3.65%)와 삼성전자(1.26%), 삼성전자우(1.03%)가 나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으며, KB금융(3.82%)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2.96%)도 강세다. 이 외에도 현대차(0.91%)와 기아(0.76%)는 오르고, LG에너지솔루션(-1.44%), HD현대중공업(-0.40%) 등은 하락했다. 상승종목은 510개, 하락종목은 342개, 보합종목은 77개로 집계됐다. 같은 시각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5.51포인트(0.67%) 상승한 830.33을 나타내고 있다. 기관과 개인이 81억원, 104억원씩 사들였으며, 외국인은 홀로 143억원을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삼청당제약(4.95%)과 알테오젠(2.52%) 등이 가장 크게 올랐으며, 레인보우로보틱스(1.44%), 리가켐바이오(0.92%), 파마리서치(0.45%)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에코프로비엠(-2.88%)과 에코프로(-1.41%), 펩트론(-0.51%) 등은 하락했다. 상승종목은 890개, 하락종목은 679개, 보합종목은 154개로 집계됐다. 간밤 뉴욕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도 주목된다. 9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6.39포인트(0.43%) 오른 45711.34를 기록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7.46포인트(0.27%) 상승한 6512.61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80.79포인트(0.37%) 오른 21879.48에 마감했다. 3대지수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한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미국 연간 고용 하향에도 강세를 보인 미국 증시에 연동되며 상승 출발했다"며 "미 증시 마감 이후 실적을 발표한 오라클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 가이던스를 큰 폭 상향했다는 소식에 시간외 폭등하고 있다는 점도 국내 증시에 우호적일 것"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그는 "오늘 밤 발표되는 미국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 경계심리와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물량 등으로 장중 전반적인 증시 탄력이 제한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2025-09-10 10:21:08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코스콤, 대학생 'IT 기획 공모전' 개최...금융 AI 아이디어 모집

코스콤이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공모전을 개최하고 창의적 금융 인공지능(AI) 아이디어를 모집하고 있다. 코스콤은 '코스콤 AI 에이전트 챌린지(Agent Challenge) 2025'를 개최하고 참가자를 모집 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의 슬로건은 'Connect, Create, Compete - 금융의 미래를 연결하다'로, 차세대 금융 AI Agent 활용을 위한 MCP(Model Context Protocol) 서버 개발을 주제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이 도전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참가자들은 ▲실시간 금융 데이터 & 시세 분석 ▲개인화 자산, 소비, 포트폴리오 관련 ▲금융 규제, 컴플라이언스 관련 ▲차세대 금융발전에 기여 할 자유주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참가 대상은 국내 4년제 대학 학부 재학생 및 휴학생으로, 개인 또는 4명 이하 팀 단위로 참여할 수 있다. 대학원생은 참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심사는 예선심사(서류심사)와 본선심사(프로젝트 발표)로 진행된다. 예선을 통과한 최대 10개 팀은 본선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소정의 활동비도 지급된다. 총 상금은 2600만원 규모로 ▲대상(1개팀 이내 1000만원) ▲최우수상(2개팀 이내, 각 500만원) ▲우수상(3개팀 이내, 각 200만원)이 수여된다. 우수상 이상 수상자 전원에게는 '코스콤 사장상'이 함께 수여된다. 김혜원 코스콤 AX·R&D 본부장은 "이번 공모전은 대학생들이 AI 기술을 금융과 접목해 미래 산업을 어떻게 혁신할 수 있을지 보여줄 기회"라며 "코스콤은 청년 인재들이 금융의 미래를 연결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9-10 09:12:06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신한자산운용, ‘빠른대응TDF’ 출시...환매주기 단축돼

신한자산운용이 타깃데이트펀드(TDF)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신상품을 내놓았다. 신한자산운용은 10일 '신한빠른대응TDF'를 출시했다. 이번 신상품은 환매주기 단축(4영업일 환매대금 지급)자의 자금 회수 편의성을 높이고, 시장 상황에 따라 위험자산과 방어자산의 비중을 적극적으로 조정하는 전술적 자산배분 전략을 통해 변동성 리스크 최소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신한자산운용의 TDF는 앞서 출시한 신한마음편한TDF, 신한장기성장TDF를 바탕으로 최근 5년 동안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했했으며, TDF 수탁고는 8월 말 기준 1조1681억원으로 2020년말 1923억원 대비 6배 성장했다. 같은 기간 TDF 전체 시장이 4조원대에서 13조6000억원으로 3배가량 성장한 것에 비해 높은 성과다. 이에 따라 TDF 시장점유율도 4.5%에서 8.5%로 뛰어올랐다. 대표 상품인 '신한마음편한TDF2050'은 최근 3년간 42.05%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1년 13.34%, 2년 36.85%, 5년 56.02% 등 전 구간에서 두 자릿수의 안정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신한자산운용은 기존 TDF 시리즈의 안정성과 성장성이 이번 '신한빠른대응TDF' 출시의 기반이 됐다고 설명했다. 김성훈 신한자산운용 멀티에셋운용센터 센터장은 "2025년 하반기는 미국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수요 둔화에 따른 불확실성이 큰 시기"라며 "빠른대응TDF는 상승 국면에서는 수익 기회를 극대화하고, 리스크가 확대되는 국면에서는 위험자산 비중을 신속히 낮춰 방어주 위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마음편한TDF, 장기성장TDF에 이어 이번 빠른대응TDF까지 출시함으로써 투자자 니즈에 부합하는 TDF 풀 라인업을 구축했다"며 "안정적 노후 준비 솔루션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9-10 08:57:29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신한라이프, 상반기실적 '우수'…'손익·비용·신용' 과제

신한라이프가 올 상반기 3453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면서 '우수 구간'에 근접한 실적을 냈다. 그렇지만 기타포괄손익(OCI·장부평가 손익) 변동성, 보험서비스비용의 확대, 신용손실충당금(미래부실 대비금)의 증가와 같은 요소는 하반기 점검 과제로 남았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신한라이프의 올 상반기 실적 핵심은 '보험손익 둔화'와 '투자손익 회복' 흐름이다. 보험손익은 3755억원으로 전년 동기(4061억원) 대비 감소했다. 2분기 단일 분기 기준으로도 1865억원으로 전년 동기(2058억원)보다 낮다. 투자손익은 909억원으로 전년(418억원) 대비 크게 개선됐다. 금리·배당·평가 이슈의 기저효과와 운용 효율화가 맞물리면서 상반기 전체 이익 방어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결과적으로 상반기 순익 3453억원을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보면 보험수익(CSM 등 인식)은 안정적이었지만 보험서비스비용(1조699억원)이 전년 대비 1269억원 증가해 본업 수익성을 압박했다. 그 사이 재보험 수익(670억원)이 늘고 재보험 서비스비용(736억원)도 확대되는 등 비용·효익이 동시에 반영됐다. 투자부문은 회복했지만 변동성은 남아 있다. 상반기 기준(별도) 파생상품 관련 이익은 3458억원, 손실은 1195억원으로 순이익 약 226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순손실 3340억원에서 반등했다. 반면 외환은 이익 782억원, 손실 3803억원으로 순손실 약 302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순이익 3554억원 대비 방향성이 바뀌었다. 금리와 환율, 헤지 포지션에 따른 민감도가 확인된 만큼 하반기에도 파생 전략의 일관성 유지와 외화 노출(익스포저) 관리가 실적 변동성을 좌우할 전망이다. 자본·건전성은 '방어력 회복'과 '변동성 내재'로 요약된다. 지급여력비율(K-ICS)은 199.6%(경과조치 미적용)로 지난 3월 말 대비 10.32%포인트(p) 개선돼 방어력을 회복했다. 다만 상반기 기타포괄손익(OCI)은 연결 -6038억원, 별도 -5917억원을 기록했다. 유가증권 평가이익이 쌓였지만 현금흐름헤지(변동 방지 거래) 평가는 마이너스였고 보험부채 관련 순금융손익이 큰 폭의 마이너스로 반영돼 자본총계 변동성을 키웠다. 자본총계는 6조3978억원으로 이익잉여금 축적에도 불구하고 시장 변수에 따라 변동 폭이 커질 수 있다. 하반기에는 ▲ALM(자산·부채 관리) 정합성 ▲헤지 포지션 ▲조달 타이밍(후순위·배당)의 조율이 중요할 전망이다. 신용 지표 부분에서는 가중부실자산비율(NPA)이 0.18%로 전 분기·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으나 절대 수준으로는 낮은 편을 기록했다. 해외부동산 수익증권 재분류와 가계대출 연체 증가를 변동 요인으로 꼽힌다. 상반기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은 1182억원으로 전년 동기 587억원 대비 약 595억원 늘었다. 환입(616억 원)을 감안한 순전입도 약 566억원으로 전년 197억원보다 확대됐다. 신용손실충당금 증가로 하반기에는 대체투자 및 가계·기업대출 익스포저에 대한 보수적 모니터링과 충당금 정책의 일관성이 요구된다. 신한라이프의 상반기 실적은 투자손익 회복에 힘입어 우상향했고 방어 지표도 무난했다. 하지만 보험서비스비용 증가로 본업의 수익성 탄력은 제한적이었고 OCI 중심의 자본 변동성, NPA의 미세 상승은 하반기 체크포인트다. 실적은 좋아졌고 체력은 견조하나, 자본·비용·신용의 3축을 긴 호흡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평가다. 신한라이프는 공시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금융상품 투자손익 증가 등으로 법인세차감전 순이익과 반기 순익이 증가했다"며 "해외부동산 투자 수익증권의 자산건전성 재분류와 가계대출 연체 증가에 따른 추정손실 증가로 가중부실자산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김주형기자 gh471@metroseoul.co.kr

2025-09-10 07:37:02 김주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