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CEO 인터뷰] 핑거 안인주 대표 "디지털 금융 혁신 선도할 것"
핀테크 기업 핑거가 '디지털 금융 혁신 플랫폼'을 앞세워 새 판을 짠다. 안인주 핑거 대표는 "올해를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전문 그룹 도약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2000년 창립한 핑거는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AI뱅킹 등 시대 흐름에 발맞춰 진화해왔다. 모바일, 블록체인, 생성형 AI, 토큰증권(STO), 마이데이터 등 신기술을 내재화하며 금융기관과 고객을 잇는 디지털 허브로 자리잡았다. 현재 모바일뱅킹 솔루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서비스, 메타버스 솔루션, STO 플랫폼, 중소·중견기업용 ERP·결제 서비스를 SaaS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안인주 대표는 "금융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통해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하고, 기존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 핑거의 출발점이었다"고 설명했다. 초창기부터 개인 금융정보 통합관리 서비스(PFMS)를 선보이며 시장을 개척했고, 스마트뱅킹과 자산관리로 사업을 확장했다. 핑거는 25년 업력을 기반으로 기술력, 시장 적응력, 혁신 역량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AI·블록체인·클라우드·데이터(ABCD) 독자 솔루션과 서울대 협력 AI·빅데이터 플랫폼 사업은 핑거만의 차별화 포인트다. 독도버스, 파로스, 핑거AI패드 등 차세대 플랫폼도 잇달아 선보이며 외연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회사의 주요 사업은 비대면 금융 플랫폼 구축, AI·블록체인·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제공, 핀테크 수수료 사업, IT 아웃소싱 등이다.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 플랫폼을 개발·운영하고 있으며, 자체 솔루션을 앞세워 금융권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있다. NFT, STO 생태계 조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핑거는 SaaS 전환에 사활을 걸고 있다. 맞춤형 솔루션 공급을 넘어 플랫폼 중심 사업 모델로 체질을 바꿔가는 중이다. 서울시 공공배달 서비스 '땡겨요', 한국조폐공사의 '공공상품권' 운영 경험도 SaaS 경쟁력으로 녹여냈다. 핑거는 이와 함께 기업 고객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며 업계 내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안 대표는 "올해 핑거는 AI, 블록체인, STO 기술을 SaaS 모델로 전환해 수익원을 다변화하고, 매출 1000억원 달성을 목표로 내걸었다 "고 강조했다. 그룹사 간 시너지 강화와 연계 사업 확대로 수익구조 안정도 함께 꾀할 방침이다. 핑거의 성장 전략은 세 갈래다. 첫째, 자율성과 존중이 공존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인재를 적극 육성한다. 둘째, AI 기반 신규 SaaS 서비스를 통해 수익 기반을 다각화한다. 셋째, 핑거패밀리(계열사)와의 협업을 강화해 통합 플랫폼 생태계를 완성한다는 구상이다.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기술 변화, 규제 리스크, 고객 수요 변화는 여전히 위협 요인이다. 핑거는 B2B 사업 심화, SaaS 사업 다변화, 신규 고객 확보로 돌파구를 마련할 계획이다. 핑거의 전략은 기술 혁신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데 중점을 둔다. 안 대표는 "우리는 단순히 기술을 파는 회사가 아니다"며 "고객과 사회에 실질적 가치를 주는 디지털 금융 혁신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핑거가 추구하는 비전이 단기적인 성과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