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특화 증권사 'IBK·유안타·유진·KB·키움·코리아에셋' 선정
KB는 합병시 자격박탈…차순위 KTB로 교체 금융위원회는 중소기업(中企) 특화 증권사로 IBK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KB투자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6곳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중기특화 증권사는 금융위가 기술력 있는 중소·벤처기업을 선별하고, 이들이 자본시장을 통해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도록 도입한 제도다. 특히 중소형 증권사를 중기특화 증권사로 지정, 대형 증권사와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중소·벤처기업에 맞춤형 투자은행(IB)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화된 중소형 증권사를 육성하겠다는 게 당국의 방침이다. 이번 중기특화 증권사 선정에는 총 13개 증권사가 참여해 치열하게 경쟁했다. 증권사들이 대거 경쟁에 뛰어든 것은 '중소기업 전문 투자은행'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금융위는 이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6개사를 중기특화 증권사로 지정, 향후 2년 동안 중소기업 관련 회사채 발행이나 인수·합병(M&A) 전용 펀드 주관사 선정에서 우대해주기로 했다. 우선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은 시장안정 유동화증권(P-CBO) 발행 주관사 선정에서 중기특화 증권사를 우대할 예정이다. 총자산 1조원 이상, 자기자본 5000억원 이상인 지원 자격요건도 면제된다. 한국성장금융은 중소기업 M&A펀드 운용사 선정시 평가기준을 완화해줄 예정이다. 산업은행은 중기특화 증권사가 운용하는 별도 펀드를 조성하거나 M&A펀드 운용사 선정시 우대할 방침이며, 기업은행은 중기특화 증권사가 펀드 결성시 출자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에 중기특화 증권사로 선정된 6개사는 향후 정책금융기관, 한국성장금융, 한국증권금융 등의 기관으로부터 각종 금융지원을 받아 중소·벤처기업 IB 업무에 주력할 예정이다. 다만 KB금융지주가 현대증권을 인수한 KB투자증권의 경우 1년 안에 종합금융투자사업자(자기자본 3조원 이상)인 현대증권과 합병할 경우 자격이 상실돼 차순위인 KTB투자증권이 중기특화 증권사 자리를 이어받게 된다. 또 지정 1년 후 중간 점검을 거쳐 활동 실적이 미흡한 증권사는 재평가를 통해 새로운 증권사로 교체될 수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중기특화 증권사 지정으로 자본시장을 통한 중소·벤처기업의 자금조달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며 "중기특화 증권사는 정책금융지원을 통해 관련 기업정보 활용 및 펀드운용 경험을 축적함으로써 추가 수익창출 및 IB업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