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10년만에 최고...이자부담 '눈덩이'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가 약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대출자들의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다. 지난 16일 기준 변동금리 주담대 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 취급액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2.96%로 전월 대비 0.06%포인트(P) 상승해 3% 턱밑까지 올라섰다. 이는 약 10년 만인 2013년 1월(2.99%)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다. 이에 따라 4대 시중은행의 변동형 주담대 금리의 상단은 하루 만에 연 6.334%에서 6.393%로 상승했으며 고정형(금융채 5년물 기준)은 4.33~6.262%다. 변동형인 전세대출 금리도 3.81~6.068%로 최상단이 이미 6%를 넘어서면서 대출금리 최상단이 7%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우리은행은 최근 신규 취급액 코픽스와 연계된 변동형 주담대 금리를 5.24~6.04%에서 5.30~6.10%로 인상했다. NH농협은행의 주담대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는 4.44∼5.54%에서 4.50∼5.60%로 상·하단이 각각 0.06%p씩 올랐다. KB국민은행은 주담대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도 4.50∼5.90%에서 4.56∼5.96%로 올렸다. 차주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은 1년 새 두배 이상 불어났다. A씨가 지난해 8월 연 3% 금리로 3억원의 변동금리 주담대(30년 만기·원리금균등상환)를 받았다면 신규 코픽스 상승분(0.95→2.96%)만 반영해 5%대의 금리가 적용된다. 원리금 상환액이 월 126만원에서 161만원으로 뛰어, 연간으로 420만원가량 부담이 늘어나는 셈이다. 코픽스가 오른다는 건 은행들이 기준금리 상승분을 반영해 예·적금 금리를 올리고 자본조달 비용이 커지면서 대출 금리에 고스란히 반영됐다는 의미다. 실제 지난 주 은행권 예금상품의 최고금리가 모두 3.5%를 넘어섰다. 우리은행의 'WON플러스예금'은 최고금리(1년 만기 기준)가 3.81%에 달한다. 하나은행은 '하나의 정기예금' 금리를 최고 3.6%까지 끌어 올렸다. KB국민은행의 'KB Star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는 3.5%, 신한은행의 '신한 쏠편한 정기예금' 최고금리도 3.55%로 모두 3.5%를 넘어섰다. 이처럼 은행들의 예금금리 인상이 주담대 금리를 끌어 올리면서 차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반면, 안전 자산인 예·적금으로의 '머니무브'는 가팔라지고 있다. 지난 7월 시중에 풀린 돈이 10조원 이상 늘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7월중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7월 시중 통화량(계절조정·평잔)은 광의통화(M2) 기준 3719조5000억원으로 6월 대비 10조4000억원(0.28%) 증가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8.0% 늘어난 수준이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등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를 뜻한다. 지난 4월부터는 넉달째 상승세다. 금융상품별로는 2년 미만 정기예적금이 21조6000억원 증가했다. 기준금리 인상 속 시중금리가 오르며 자금이 쏠린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에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10조1000억원 늘었다. 기업에서도 정기 예·적금, 외화예금 등이 늘어나면서 3조4000억원 늘었다. 다만,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9조3000억원), 요구불예금(-5조원) 등 결제성 예금은 감소세를 보였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