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 경기, 소폭 개선 됐지만…30개월 연속 비관적
반도체 업종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가면서 이달 기업 체감경기가 소폭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4월 기업경기조사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한 달 전보다 1.2포인트(p) 상승한 87.9로 집계됐다. 기업심리지수는 기업들이 경제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지표다. 2003~2024년 장기 평균치를 기준값(=100)으로, 100보다 높으면 기업심리가 낙관적, 100보다 낮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이달 기업들은 체감경기가 한 달 전보다는 나아졌다고 판단했지만, 여전히 경기는 비관적이라고 응답했다. 기업심리지수는 지난 2022년 10월 98.6으로 떨어진 이후 30개월간 100을 밑돌고 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기업심리지수가 두 달 연속 상승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장기 평균을 밑돌고 있고, 작년 11월 수준에도 못 미치고 있어 좋은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심리지수는 93.1로 전월에 비해 1.2p 상승했다. 제품재고(1.1p)와 신규 수주(0.6p)가 늘면서 기업 심리지수가 소폭 개선됐다. 비제조업 심리지수는 84.5로 같은 기간 1.6p 올랐다. 채산성(1.0p)과 업황(0.4p) 등이 주요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5월 기업심리지수 전망치는 전산업(86.3), 제조업(90.0), 비제조업(83.8) 모두 이달 전망치보다 0.7p, 0.1p, 1.4p씩 상승했다. 세부 업종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 흐름을 보면, 제조업에서는 전자·영상·통신장비, 금속가공, 비금속 광물 업종이 호조를 나타냈다. 전자·영상·통신장비 업종의 경우 관세 전 물량 확보를 위한 수출이 늘었고, 반도체 가격도 오른 영향이다. 이 팀장은 "반도체는 실적과 전망이 좋게 나오고 있다"면서도 "4월부터 미국 품목 관세가 발효된 자동차 업종은 업황이 악화할 것으로 조사됐고,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수출기업 전망도 부정적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에 소비자동향지수까지 반영한 4월 경제심리지수(ESI)는 87.5로 한 달 전보다 0.3p 상승했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경제심리지수 순환변동치(86)는 1.0p 내렸다. 이는 지난 2020년 10월(84.2) 이후 최저치다. 이번 조사는 이달 9∼16일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중 3282개 기업(제조업 1847개·비제조업 1435개)이 답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