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
기사사진
美 언론 "김현수, 볼티모어 1번 타자 겸 좌익수 뛸 것"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외야수 김현수(28·볼티모어 오리올스)가 팀의 1번 타자 겸 좌익수로 뛸 것이라는 현지 언론 전망이 나왔다. 미국 일간지 USA투데이는 7일(한국시간) 볼티모어의 2016시즌 전망과 함께 예상 선발 라인업을 소개했다. 메이저리그 신인인 김현수를 1번 타자 좌익수로 올려놓았다. 지난해 팀의 톱타자로 활약한 3루수 매니 마차도를 올 시즌 주목해야 할 선수로 꼽았다. 2번 타순에서 김현수와 테이블 세터진을 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현수에게는 데뷔 첫해 리드오프라는 중책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현지 관계자들이 그에게 거는 기대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USA투데이는 김현수에 대해 볼티모어의 두 가지 단점인 '왼손 타자'와 '출루율'을 보완해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USA투데이는 "강정호(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발자취를 따르는 김현수는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김현수는 볼티모어의 단점인 왼손 타자와 출루율을 보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수가 지난해 KBO리그에서 출루율 0.438을 기록한 것도 함께 언급했다. "볼티모어가 자유계약선수(FA) 시장에서 뛰어난 외야수와 계약하지 않는다면 김현수가 주전 좌익수로 뛸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USA투데이의 예상 라인업은 현재까지 이뤄진 선수 영입 등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볼티모어는 FA인 파워히터 1루수 크리스 데이비스와 아직 계약하지 못했다. FA 시장에서는 저스틴 업튼, 요에니스 세스페데스 같은 대형 외야수들의 거취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USA투데이는 "볼티모어는 데이비스, 업튼, 세스페데스 등과 계약할 재정적 여유는 있다"고 전했다.

2016-01-07 10:25:07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올해 MLB 명예의 전당 주인공은 켄 그리피 주니어·마이크 피아자

메이저리그(MLB)를 풍미했던 강타자 켄 그리피 주니어(47)와 마이크 피아자(48)가 2016년 MLB 명예의 전당 입회자로 뽑혔다. 미국 스포츠전문매체 ESPN은 미국야구기자협회(BBWAA)의 투표에서 그리피 주니어가 피아자가 올해 명예의 전당 입회자로 선출됐다고 7일(한국시간) 전했다. 두 선수는 미국 뉴욕주 쿠퍼스타운에 있는 명예의 전당에 각각 역대 311번째, 312번째 입회자로 이름을 올기게 됐다. 그리피 주니어는 만장일치 헌액 여부로 관심을 모았다. 만장일치는 기록하지 못했으나 역대 최고 득표율인 99.3%(444표 중 437표)를 기록하며 가입 요건인 득표율 75%를 가뿐하게 넘겼다. 그리피 주니어 이전 역대 명예의 전당 최고 득표율은 1992년 톰 시버가 기록한 98.8%(430표 중 425표)였다. 그리피 주니어는 1987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시애틀 매리너스에 1라운드 지명을 받았다. 입단 당시부터 많은 주목을 받았다. 메이저리그에서 22시즌을 소화하면서 개인 통산 630개의 홈런을 쏘아올렸다. 역대 6위의 기록이다. 13번의 올스타와 10번의 골드글러브 수상 경력도 갖고 있다. 피아자는 명예의 전당 4번째 도전 만에 기자단의 선택을 받았다. 83.0%(444표 중 365표)의 득표율을 획득했다. 그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시절 박찬호와 호흡을 맞춰 한국 야구팬들에게 익숙하다. 그러나 메이저리그 입단 당시부터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1988년 신인 드래프트에서도 전체 1390순위로 뽑힌 선수였다. 신인 드래프트에서 62라운드에서야 겨우 호명을 받았다. 그러나 1991년과 1992년 마이너리그에서 도합 52개의 홈런을 터뜨리며 진가를 드러냈다. 1992시즌 말 빅리그 콜업을 받은 피아자는 1993년 타율 0.318에 35홈런 112타점을 폭발하며 그해 내셔널리그 신인왕에 만장일치로 뽑혔다. 한편 제프 배그웰은 득표율 71.6%를 얻어 아쉽게 탈락했다. 팀 레인스(69.8%), 트레버 호프먼(67.3%), 커트 실링(52.3%)도 지지율 75%를 넘는 데 실패했다. 약물 혐의를 받은 선수들도 어김없이 탈락했다. 로저 클레멘스(45.2%), 배리 본즈(44.3%), 마크 맥과이어(12.3%), 새미 소사(7.0%) 등 약물의 힘을 빌려 1990년 후반에서 2000대 초반 메이저리그를 지배했던 선수들은 이번에도 명예의 전당에 오르지 못했다.

2016-01-07 09:31:54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새 시즌 앞둔 넥센-LG, 4년 연속 PS 진출-부진 탈출 선언

서울에 연고를 둔 프로야구 넥센 히어로즈와 LG 트윈스가 시무식을 열고 2016년 시즌의 목표를 밝혔다. 넥센의 임경엽 감독은 6일 서울 목동구장에서 열린 2016년 시무식에서 "올해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은 4년 연속 포스트 시즌(PS) 진출"이라며 "이를 달성하려면 올해는 팀을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넥센은 미국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간판 타자 박병호(미네소타 트윈스)를 비롯해 유한준(KT 위즈), 손승락(롯데 자이언츠), 그리고 수술 중인 한현희 등 주요 전력이 없는 상황에서 2016년을 맞이하게 됐다. 희망과 기대보다 불안과 우려가 앞서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염경엽 감독은 4년 연속 포스트 시즌 진출을 위한 '팀 퍼스트'를 강조했다. 그는 "최근 3년 동안 팀을 운영하면서 선수 개개인의 가치 창출을 통해 팀을 만들었다. 올해부터는 3년을 경험하면서 부족했던 점을 보완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여러 가지를 고민한 결과 올해는 '팀'이라는 큰 틀 안에서 개개인의 선수 가치 창출을 할 것"이라며 "포스트 시즌 진출을 위해 팀이라는 안 보이는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G의 양상문 감독은 같은 날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시무식에서 "치욕스러운 2015 숫자가 우리 기억 속에서 다행히 사라지게 됐다. 새롭게 도전할 수 있는 2016 숫자가 드디어 우리 앞에 다가왔다"고 새 시즌을 앞둔 소감을 밝혔다. LG는 지난 시즌 10개 팀 중 9위에 머물며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10위가 신생팀 KT 위즈인 점을 고려하면 더욱 실망스러운 성적이다. 양 감독은 2016년에는 "세 마디만 하겠다"며 "올 시즌 모두 야구만 합시다. 올 시즌 우리 모두 야구만 생각하고 야구만 합시다. 올 시즌 우리 선수단 모두 야구만 잘합시다"라고 선수단을 독려했다. 그는 "올 시즌 여러분이 시즌 초에 세운 목표와 '어떻게 되겠다'는 생각은 양치질을 자연스럽게 하듯이 매일매일 자기 몸이 스스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셔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선수들이 각자 세운 목표를 마음에 새겨 이번 시즌을 성실하게 임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조언이었다.

2016-01-07 09:04:35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프로농구, 기록 경쟁 열기…모비스 함지훈-양동근, 도움왕 경쟁

2015-2016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가 올스타 휴식기에 접어들었다. 팀 순위 경쟁은 물론 개인 기록 경쟁도 한층 열기를 더하고 있다. 현재 팀당 15∼16경기씩이 남아 있다. 개인 기록에서 눈에 띄는 부문은 어시스트다. 1위 팀 울산 모비스의 함지훈(32·198㎝)과 양동근(35·180㎝)이 선두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함지훈이 평균 5.76개로 1위고 양동근은 5.43개로 2위다. 서울 SK 김선형(28·187㎝)은 5.39개로 이들의 뒤를 쫓고 있다. 함지훈은 지난 6일 열린 창원 LG와 경기에서 어시스트를 무려 13개나 기록했다. 포지션의 특성상 함지훈은 본업이 어시스트가 아니지만 골밑에서 기회를 엿보다 동료 선수들의 기회를 적절히 살려주는 특유의 농구 센스로 어시스트 1위에 올라 있다. 1997년 출범한 프로농구에서 포인트가드가 아닌 포지션의 선수가 어시스트 1위를 한 것은 2011-2012시즌 고양 오리온스의 크리스 윌리엄스가 유일하다. 양동근도 꾸준한 활약을 펼치고 있다. 그는 2010-2011시즌에 한 차례 어시스트 1위에 올랐던 바 있다. 올해 도움왕에 복귀하면 역대 최고령 어시스트 1위 선수가 된다. 현재 이 기록은 2000-2001시즌 강동희(당시 기아) 전 원주 동부 감독이 가지고 있다. 1966년생인 강동희 전 감독이 기록을 세울 당시 나이는 1981년생인 양동근의 지금 나이와 같은 35살이다. 다만 양동근이 9월생으로 12월생인 강 전 감독과 3개월 정도 차이가 난다. 물론 김선형의 역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개막 후 20경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던 김선형은 출전 경기 수가 많지 않아 평균치를 올리기가 더 수월하다. 득점 부문에서는 외국인 선수들이 상위권을 점령하고 있다. 트로이 길렌워터(LG)가 26.5점으로 1위, 애런 헤인즈(오리온)가 24.9점으로 2위를 달리고 있다. 국내 선수로는 서울 삼성 문태영이 16.3점으로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리바운드도 외국인 선수들이 강세다. 리카르도 라틀리프(삼성)가 11.8개, 로드 벤슨(동부)이 10.9개로 1,2위를 기록하고 있다. 하승진(KCC)이 7.6개로 국내 선수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 11위다. 안양 KGC인삼공사 이정현은 스틸(1.67개)과 3점슛 성공(2.37개) 등 2개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2016-01-07 09:01:32 장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