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 중심 상승…집값 5개월 연속 오름세
9월 전국 집값이 8월과 비교해 0.09% 상승해 5개월 연속 오름세를 기록했다. 서울은 재건축 단지와 역세권, 대단지 아파트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됐고 수도권도 분당·과천·광명 등 선호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대구·제주 등 지방은 하락세가 이어지며 지역 간 온도차가 뚜렷해졌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09% 상승했다. 전세가격은 0.10%, 월세가격은 0.13% 오르며 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은 전월 대비 0.58% 상승했다. 성동구(1.49%)는 금호·성수동 주요 단지, 용산구(1.20%)는 이촌·문배동, 송파구(1.30%)는 잠실·문정동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마포구(1.17%), 광진구(0.80%), 동작구(0.76%) 등도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부동산원은 "서울은 정비사업 추진 단지와 학군지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됐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0.22% 상승했다. 경기(0.06%)에서는 성남 분당구(1.74%), 광명시(0.85%), 과천시(0.75%) 등이 두드러졌으며 평택(-0.53%)과 파주(-0.40%) 등 일부 지역은 하락했다. 인천(-0.04%)은 서·연수·계양구 신축 공급이 많은 지역에서 약세를 보였다. 반면 대구(-0.20%), 부산(-0.02%), 광주(-0.07%), 대전(-0.11%), 제주(-0.13%) 등 지방은 약세가 이어졌다. 대구는 달서·북구 구축 중심으로, 제주는 서귀포 미분양 적체 영향으로 하락했다. 전국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10% 상승했다. 서울(0.30%)은 강남3구를 중심으로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송파구(0.95%), 서초구(0.65%), 강동구(0.64%)가 상승을 이끌었고 용산(0.57%), 성동(0.35%), 마포(0.30%)도 동반 상승했다. 세종(0.77%)은 새롬·어진동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중심으로 올랐다. 지방은 0.04% 오르는 데 그쳤으며 대구(-0.02%)와 제주(-0.13%)는 하락했다. 월세가격은 전국 평균 0.13% 상승하며 오름세가 이어졌다. 서울(0.30%)은 학군지·역세권을 중심으로 월세 수요가 꾸준했고 울산(0.24%)과 세종(0.34%)은 지역 경기 회복과 인구 유입으로 상승했다. 반면 제주(-0.15%)와 대전(-0.01%)은 하락했다. 9월 기준 전국 평균 주택 매매가격은 4억1834만원, 전세는 2억3707만원, 월세보증금은 5415만원, 평균 월세는 81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평균 매매가격이 9억3885만원, 전세 4억5525만원으로 전국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전국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은 6.5%, 서울은 5.5%로 조사됐다. 지방은 7.2%로 수도권(6.2%)보다 높았으며 세종(8.5%)과 대전(8.1%)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부동산원은 "전세금 부담이 커지면서 월세 전환 수요가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서울은 정비사업과 학군·역세권을 중심으로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해질 경우 상승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지방은 공급 물량 부담과 미분양 적체로 회복세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