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내부통제 '박차'…금융사고 예방 집중
우리금융이 내부통제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충해 현장 특성에 맞는 내부통제 역량을 확보하고, 사외이사도 대거 교체해 경영진에 대한 견제와 경영투명성을 꾀한다. 금융당국의 내부통제 강화 주문에 발맞추고, 이달 중으로 예정된 경영실태평가도 의식했다는 관측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는 지난달 27일 '내부통제 현장점검 회의'를 개최하고, 그룹 차원의 내부통제 역량 강화에 나섰다. 내부통제 전담 인력을 확대하고 시스템도 개선해 금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다. 우리은행은 '내부통제 관리역·지점장' 체제를 재편하고 현장별 특성을 고려한 점검을 수행하는 '내부통제 전문역'을 신설해 '내부통제 3중 관리체계'를 구축했다. 카드·자산신탁·투자증권 등 비은행 계열사에도 내부통제 전문 인력을 확충했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24일에도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FDS(이상징후 검사시스템)'을 우리은행에 도입했다. 'FDS'는 기존 금융사고 사례나 취약 유형을 학습하고, 이상 거래나 징후 발생 시 담당 직원에게 알림 및 자료를 전송해 금융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금융권에서는 우리금융이 이달 중 예정된 금감원 경영실태평가를 의식해 내부통제 강화에 힘쓰고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발생한 금융사고 검사결과에 따라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실태평가를 진행 중이다. 경영평가등급이 하향되면 우리금융이 추진 중인 동양·ABL생명 인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금감원은 지난해 초 은행업감독규정을 개정하고, 은행 경영실태평가에서 내부통제를 경영관리의 세부 항목에서 별도 평가항목으로 분리했다. 평가 비중도 기존 5.3%에서 15%로 높였다. 올해부터는 '책무구조도'를 도입해, 금융사고 예방에 대한 임원의 책무도 강화했다. 횡령·배임 등 대형 금융사고를 예방하고, 금융소비자를 보호한다는 취지다. 또한 우리금융은 임기가 종료된 사외이사 5명 가운데 4명을 교체했다. 사외이사 교체를 통해 경영진에 대한 견제력을 확보하고, 경영 투명성을 보장해 주주의 권익을 보호한다는 목표다. 금융권 사외이사의 연임이 잦은 것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결정이다. 이 또한 '내부통제 강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 표현이란 관측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부터 내부통제를 위한 사외이사의 역할과 독립성을 강조하고 있다. 각 금융지주의 사외이사들이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견제를 통해 주주의 권익을 보호하고, 금융기관의 경영 투명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것. 우리금융 이사회가 오는 26일 최종 선임 예정인 신임 사외이사 후보는 ▲이영섭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이강행 한국금융지주 전 부회장 ▲김영운 다우기술 전 대표이사 ▲김춘수 전 유진기업 대표 등 4명이다. 국내 금융 환경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내부통제 전문성에 주안점을 둔 인선이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금융권 전반의 지배구조 쇄신 흐름에 발맞춰 이사회 개편을 단행, 신임 사외이사 4명을 추천했다"라며 "새롭게 구성될 이사회와 윤리·내부통제 위원회가 체계적인 내부통제를 바탕으로 경영 안정성과 주주가치 제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