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연임설 솔솔…'안정' 택하나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의 5연임 가능성이 커졌다. 매년 최대실적을 경신한 데다 플랫폼 사업과 글로벌 사업에도 뚜렷한 성과가 나오고 있어서다. 다만 연임이 확정되면 10년째 장기 집권이 이어져, 일각에선 지배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 임원추천위원회는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임절차를 진행 중이다. 윤 대표의 임기는 3월 만료로, 이달 중 대표이사 예비후보자를 추천하고, 최종후보자를 확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카오뱅크는 2016년 이용우·윤호영 공동대표 이사 체제로 출범한 뒤 2019년 한 차례 이 체제를 연장했다. 이 대표가 21대 총선에 출마하면서 2020년 3월 임추위는 윤 대표를 단독대표로 결정했다. 이후 윤 대표는 4번을 연임하며 대표직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윤 대표의 5연임 가능성은 커진 상황이다. 윤 대표의 임기 동안 카카오뱅크는 꾸준히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4401억원으로 2023년(3549억원)과 비교해 24% 증가했다. 2019년 137억원 흑자전환 이후 순이익이 급증했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대출 영업이 아닌 플랫폼 기반의 수익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했다는 평이다. 지난해 기존 은행과 똑같이 이자이익으로 돈을 번다는 비판과 가계대출 관리강화에 가계대출을 줄였지만, 플랫폼·수수료·광고 등 비이자수익이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비이자수익은 전체 영업수익에서 30%를 차지했다. 해외 사업도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9월 동남아시아 플랫폼 기업 그랩과 파트너십을 맺고 10% 지분투자한 인도네시아 슈퍼뱅크를 성공적으로 출범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태국 가상은행 진출 여부도 정해진다. 앞서 카카오뱅크는 태국 금융지주사 에스시비엑스(SCBX)와 태국판 인터넷전문은행인 가상은행 인가 획득을 목표로 협력을 강화했다. 현재 태국 중앙은행이 심사중인 가운데 카카오뱅크·에스시비엑스(SCBX)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유력한 인가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카카오뱅크의 발전과 혁신을 위해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안정을 위해 윤 대표를 연임시킬 수 있지만, 커진 몸집에 맞게 경영승계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주요 금융지주의 경우 회장을 중심으로 2인자·3인자 등을 부회장으로 두고 역량을 제고시킨다. 경영승계 시스템을 통해 급격한 변화를 막고, 임직원들에게도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내부규범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카카오뱅크 내부규범에는 주요 금융지주와 같이 연령이나 연임 횟수를 제한하는 명시적인 조항이 없다. KB금융·우리금융·하나금융지주는 이사 연령을 만 70세로 제한하고 있고, 신한금융지주는 첫 선임 시 만 67세를 넘지 않도록 규정한다. BNK금융지주는 연령 제한 대신 한 차례만 연임이 가능하다. 은행권 관계자는 "시중은행과 달리 출범한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영의 연속성이 필요한 시점이지만 글로벌 시장에사 지적될 수 있는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