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보배
코스피 박스권, 코스닥 상승 지속-대신증권

이번주 코스피가 2010~2050포인트에서 등락을 이어가는 한편 코스닥은 660포인트에 안착을 시도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6일 대신증권은 "지난 주말 미국 고용지표 쇼크 충격이 불가피하고 그리스 이슈, FOMC회의록 발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짙어질 소지가 있다"며 이같이 진단했다. 지난 3일 코스피지수는 2045.42로 장을 마쳐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코스닥지수도 동반상승하며 지난달 기록한 연고점(651.05)을 넘어서 658.04를 기록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영향에 옵션만기와 국내 이슈가 가세해 관망심리가 계속되다 주 후반 분위기 반전 시도를 기대한다"며 "오는 7일 삼성전자 실적 가이던스 발표가 분기점이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이를 계기로 코스피는 실적 신뢰도를 높이고 2분기, 3분기 이익 모멘텀 기대를 반영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며 "코스피가 2050선을 돌파하기 전까지 대형주 순환매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실적시즌에 돌입한 만큼 실적대비 저평가된 업종·종목이 주목받을 것"이라며 "업종별 영업이익 전망치 변화율과 지수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증권, 운송, 반도체/장비, 하드웨어, 디스플레이 업종이 저평가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체된 코스피시장과 달리 코스닥 지수는 뜨거울 예정이다. 이 연구원은 "이번주에도 코스닥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코스닥에 저평가 영역 업종 비중이 높고 옵션만기 수급에서도 자유롭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IT, 건강관리, 내수주 등 기존 주도주들의 매력도가 여전한 가운데 하드웨어, 건강관리, 내구재/의류 업종의 이익 개선세가 최근들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며 "이들 업종의 시가총액 비중이 36%에 달하고 있어 앞으로도 코스닥의 상승세를 주도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r

2015-04-06 08:53:43 김보배 기자
NH투자증권, 중국 대표 기업 방문…"中 증시 체험"

NH투자증권은 중국 기업들을 방문해 후강통 이후 중국 증시 열기를 직접 느끼고 올해 하반기 시행될 선강통 분위기를 파악하는 기회를 갖는다. NH투자증권은 "함종욱 WM(지점영업)사업부 대표 등 WM사업부 임직원으로 구성된 중국 기업 탐방단이 오는 6일 중국의 대표 기업들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중국 기업 탐방단은 3박 4일 동안 북경과 상해 지역의 공상은행, 중국석유화학, 왕왕식품, 상하이자동차, 상해복성의약 등 중국의 대표 기업 10여곳을 방문하게 된다. 이들 기업의 실적뿐만 아니라 업계 전망, 고객 입장에서의 궁금증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일정에는 현지 경제 전문가를 초빙하는 강연회가 포함됐다. 탐방단은 강연회에서 중국의 주요 정책 방향과 이슈사항인 국유기업 개혁, 환경보호, 핀테크, 부동산 정책 등을 확인하게 된다. NH투자증권은 이 같은 임직원들의 중국 현지 파견을 올해 최소 5차례 이상 실시할 계획이다. 김원규 NH투자증권 대표는 "중국은 향후 높은 중장기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G2의 하나로 AIIB 설립을 주도하는 등 국제 금융시장에서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며 "우리와 가깝고 문화적 이질감이 적은 중국 시장에서의 사업 강화는 금융업에도 필수적이어서 중국 증시는 해외 시장이 아닌 '제2의 국내 증시'로 보는 것이 맞다"고 탐방단 파견 배경을 설명했다.

2015-04-05 14:06:41 김보배 기자
[마감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매수에 연중 최고치 기록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연고점을 찍었다. 이란 핵협상 타결과 미국 경제지표 호조가 투자심리를 부추긴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3일 코스피지수는 전일대비 16.35포인트(0.81%) 상승한 2045.42에 장을 마쳤다. 지난달 25일 연중 최고치였던 2042.81을 갈아치운 것이다. 외국인이 2거래일 만에 '사자'로 돌아서 429억원 순매수했다. 기관도 873억 매수 우위를 보여 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개인은 1226억원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증권이 6.98%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건설업(2.94%), 금융업(1.94%), 서비스업(1.64%), 운수창고(1.53%) 등이 뒤따라 오르는 등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했다. 다만 의약품(-1.15%), 통신업(-0.60%), 전기전자(-0.17%) 등 3개 업종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대우증권(8.53%), 메리츠종금증권(8.05%), NH투자증권(6.67%), 삼성증권(6.54%), GS건설(6.07%) 등이 크게 올랐다. 반면 BGF리테일(-3.78%), LG디스플레이(-2.32%), 메리츠금융지주(-2.21%) 등은 내렸다. 삼성전자, LG전자 등은 보합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도 전날보다 7.47포인트(1.15%) 오른 658.04를 기록하며 동반상승했다. 지난달 25일 기록한 연고점 651.05를 넘어선 수치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98억원, 5억원 순매수한 반면 개인 홀로 353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인터넷(-0.29%)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특히 기타제조(6.51%)가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금융(4.14%), 오락문화(3.56%), 디지털컨텐츠(3.31%)도 강세였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혼조세였다. 웹젠(12.05%), 파라다이스(6.28%), 산성앨엔에스(6.15%) 등이 크게 올랐고 100억원 규모의 추징금 부과 소식에 약세를 보였던 셀트리온도 1.13% 오름세로 마감했다. 이날 시총 30위 종목 중 약세인 종목은 CJ E%M(-0.34%), 메디톡스(-2.13%), SK브로드밴드(-0.11%), OCI머티리얼즈(-1.68%), 포스코컴텍(-0.94%), 차바이오텍(-0.32%) 등 6개 종목이 전부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6.90원 내린 1095.50원로 장을 마쳤다.

2015-04-03 17:00:34 김보배 기자
[특징주] 이수앱지스 '강세'…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

국내 바이오 업체 이수앱지스가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이틀째 강세를 보이고 있다. 3일 오전 11시27분 현재 이수앱지스는 전일대비 520원(6.36%) 오른 8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수앱지스는 바이오약품 생산공정 3단계 기반기술을 자체 보유한 국내 항체 바이오 부문 1호 업체"라며 "주력제품 중 하나인 희귀병 치료제 파바갈이 지난해 3분기부터 국내에 판매를 시작해 지난해 처방기준 140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한 연구원은 이어 "따라서 올해 30%의 점유율만 기록해도 40억원 수준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수앱지스는 전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1356억원으로, 유사 바이오업체들이 제품 개발 완료 전임에도 2000억~5000억원에 거래되는 것에 비해 가격 메리트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수앱지스는 ▲혈전억제 항체 치료제 '클로티냅'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 등 3개 바이오의약품 모두를 자체 개발해 국내에 판매하고 있다. 2014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1억원, -63억원이다. 유진투자증권 이수앱지스가 올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100억~110억원, -20억~-30억원 수준까지 끌어올린 뒤, 2016년에는 손익분기점을 달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15-04-03 14:01:57 김보배 기자
실적시즌 앞둔 4월, 저평가 개별종목 수혜 예상-NH투자

NH투자증권이 3일 "4월에는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저평가 종목 중심으로 차별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하석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발 버블논쟁, 기술적 과열 신호에도 불구하고 제약·바이오 중심의 중소형주 강세가 이어지며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1분기 실적시즌이 다가오는 만큼 저평가돼 있으면서 주가 부담이 없는 종목과 모멘텀이 살아있는 종목 위주로 접근해야 한다"며 이 같이 권고했다. 하 연구원은 그러면서 "코스피가 박스권 상단을 돌파하지 못하면서 개인중심의 투자심리가 중소형주로 쏠리는 분위기"라며 "4월에는 코스피 대형주와 중소형주간의 힘겨루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저평가 개별종목은 차트부담에도 불구하고 당분간 주가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NH투자증권은 3월에 이어 4월에도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더존비즈온' ▲화장품 제조사 '에이씨티' ▲폐지 재활용 업체 '차이나하오란' ▲IT부품업체 '솔루에타'를 추천주로 소개했다. 하 연구원은 "더존비즈온은 클라우드발전법 통과에 따른 성장이 예상되며 에이씨티는 중국시장의 신규공급이 기대된다"며 "차이나하오란도 중국 소비재 시장 성장으로 물량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솔루에타는 갤럭시S6 관련주로 주목된다"고 추천했다. 그는 이어 "신규종목으로는 증설 완료와 함께 원자재 가격하락, 환율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아트라스BX, 고객사의 2차전지 라인 투자에 따른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피엔티를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2015-04-03 14:01:09 김보배 기자
[개장시황] 코스피, 외국인 '사자'에 상승 출발

코스피가 외국인 순매수에 상승 출발했다. 3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대비 6.76포인트(0.33%) 오른 2035.83으로 개장해 9시22분 현재 6.20포인트(0.31%) 오른 2035.27을 기록 중이다. 외국인이 131억원 '사자'에 나선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107억원, 6억원 순매도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는 증권이 3.07%로 상승폭이 가장 크며 건설업(1.90%), 금융업(1.02%), 운수창고(0.75%), 은행(0.79%) 등 대부분의 업종이 오름세다. 다만 의약품(-0.42%), 전기전자(-0.35%), 비금속광물(-0.14%), 화학(-0.04%) 등 4개 업종은 소폭 하락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의 등락은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0.28%), 현대차(1.83%), 현대모비스(0.42%), SK텔레콤(0.55%), POSCO(0.64%) 등은 상승하는 반면 SK하이닉스(-0.56%), NAVER(-0.47%), 아모레퍼시픽(-0.80%), LG화학(-0.44%) 등은 하락세다. 코스닥지수는 이시각 현재 전일대비 2.97포인트(0.46%) 오른 653.54를 기록하고 있다. 개인이 176억원 매수 우위로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77억원, 90억원 순매도 중이다. 업종별로는 기타제조(4.88%), 오락문화(2.15%), 디지털컨텐츠(1.63%), 금융(1.72%), 컴퓨터서비스(1.37%) 등이 상승하는 반면 종이목재, 방송서비스, 건설, 일반전기전자, 제약 등은 약보합권을 형성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다음카카오(1.28%), 파라다이스(3.35%), 컴투스(3.34%), GS홈쇼핑(0.64%), 이오테크닉스(1.04%) 등이 상승세다. 반면 셀트리온(-0.99%), 동서(-0.32%), CJ E&M(-1.54%), 메디톡스(-0.84%), CJ오쇼핑(-0.57%) 등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6.90원 내린 1095.50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5-04-03 09:51:58 김보배 기자
'달러오픈 상품' 무조건적 수익 어려워…'주의'-NH투자

NH투자증권은 2일 "더블데커 상품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더블데커 상품은 채권·주식 등 기초 자산에 투자하되 자국 통화가 아닌 투자자가 선택한 통화로 운용하는 통화 선택형 상품을 말한다. 강현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러와 미국채권, 달러와 미국주식을 연결하는 일종의 더블데커 상품처럼 미국 금리 인상시 달러 강세가 될 것을 노리는 상품들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며 "미국 채권금리나 주가가 올라 수익을 낼 수 있으나 달러화가 강세를 보일 경우 수익의 상당부분이 환율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고 이 같이 주장했다. 강 연구원은 "사실 금리수준만 놓고 보면 한국이 미국보다 금리가 높고, 주가 측면에서는 미국 증시가 연초 이후 상승폭을 되돌리는 조정을 보인다는 점에서 주식이나 채권 등 투자상품 자체의 매력이 크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더블데커 상품은 2000년대 일본에서 단기간 히트했던 환오픈형과 유사한 형태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모든 상품이 그렇듯 초기에 투자한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미국이 금리인상을 단행한다고 해서 무조건 달러가 오르는 것은 아니라는 점, 글로벌 운용사들은 유동성이 부족한 채권을 중심으로 비중축소에 나서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한국은 유가하락 등으로 무역수지가 사상최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달러가 올라도 상대적으로 원화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강 연구원은 "무엇보다 글로벌 IB들이 그들만의 출구전략을 고민하는 시점에서 우리가 이를 받아주는 '역선택'을 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2015-04-02 17:19:04 김보배 기자
[마감시황] 코스피, 개인 매수에 강보합 마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도 개인 매수세에 힘입어 가까스로 강보합 마감했다. 2일 코스피지수는 전일보다 0.62포인트(0.03%) 오른 2029.07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48억원, 794억원 '팔자' 행렬에 나섰지만 개인이 1015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을 방어했다. 업종별로는 의약품이 1.79%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음식료업(0.91%), 전기전자(0.64%), 보험(0.45%), 은행(0.16%) 등 대부분 업종이 강보합에 머물렀다. 반면 의료정밀(-2.63%), 운수창고(-2.12%), 섬유의복(-1.90%), 유통업(-0.77%) 등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CJ(4.61%), 롯데케미칼(4.10%), BS금융지주(3.69%), LG(1.85%) 등이 상승한 반면 현대글로비스(-6.00%), LG생활건강(-4.64%), 제일모직(-4.10%) 등은 낙폭이 컸다. 코스닥도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개인 매수에 소폭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일보다 0.34포인트(0.05%) 오른 650.57을 기록했다. 개인이 241억원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3억원, 217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기타제조(7.82%), 종이목재(3.71%), 방송서비스(3.10%), 통신방송서비스(2.16%), 섬유의류(1.84%) 등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금융(-2.30%), 화학(-2.30%), 인터넷(-2.24%), 의료정밀기기(0.87%), 기계장비(0.72%) 등은 약세로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동화기업(12.48%), CJ E&M(9.76%), 씨케이에이치(8.37%), KG모빌리언스(7.89%) 등이 크게 오른 반면 한국토지신탁(-5.33%), 다음카카오(-4.12%), 오스템임플란트(-3.87%), 휴메딕스(-3.25%) 등은 하락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6.90원 내린 1095.50원으로 거래를 종료했다.

2015-04-02 16:51:02 김보배 기자
기사사진
NH투자증권, 'octo WISE 배당 ETN' 배당률 2.32% 확정

NH투자증권은 'octo WISE 배당 ETN'의 2014년 연말 배당수익률을 2.32%로 확정한다고 2일 발표했다. 이는 KOSPI200 지수의 배당수익률 1.36%보다 1%포인트 높은 수치다. octo WISE 배당 ETN은 기업소득환류세와 정부의 배당 증가 정책에 착안해 개발된 상품이다. 계량적 기준으로 선정한 우량 배당주 중 내부유보율이 높은 15개 종목에 집중 투자해 배당과 자본수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해당 ETN은 지난해 11월 17일 상장된 이후 수익률(3월 31일 종가 기준) 9.40%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같은 기간 KOSPI200 지수의 3.62%, KRX 고배당 50 지수의 3.91%를 5%포인트 이상 상회하는 수치다. 한편 NH투자증권의 1호 ETN 상품인 'octo Big Vol ETN'은 상장 이후 수익률 15.48%, 배당수익률 0.71%를 기록해 octo WISE 배당 ETN과 함께 국내주식형 ETN 중 수익률 1,2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octo Big Vol ETN은 고변동성 대형주에 집중해 레버리지 ETF에 준하는 변동성을 지닌 알고리즘 트레이딩형 상품이다. 차기현 NH투자증권 Equity파생운용부 이사는 "우리나라 최대 증권사로서 당사는 적극적인 ETN 상품 개발로 시장을 개척할 것"이라며 "4월 중순 스마트 리밸런싱과 롱숏 ETN을 포함해 상반기 중 20종목의 ETN을 상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15-04-02 11:22:41 김보배 기자
[개장시황] 코스피, 하루 만에 상승 전환 2030선 출발

코스피지수가 개인 매수에 힘입어 하루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2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7.64포인트 오른 2036.51로 출발해 오전 9시20분 현재 2033.35을 기록 중이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63억원, 11억원 매수 우위를 보이고 있고, 기관이 64억원 순매도 중이다. 업종별로는 화학(1.32%), 의약품(1.25%), 운수장비(0.84%), 은행(0.76%), 제조업(0.51%) 등이 상승하고 있다. 반면 섬유의복(-0.99%), 비금속광물(-0.62%), 건설업(-0.52%) 등은 하락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에서는 SK이노베이션(4.57%), 롯데케미칼(3.61%), GS(3.26%), 한미약품(3.21%), LG화학(3.11%) 등이 오르는 반면 NAVER(-2.70%), 두산건설(-2.23%), 제일모직(-1.71%), 삼성전기(-1.65%) 등은 하락 중이다. 코스닥지수도 같은 시각 전날보다 2.90포인트(0.45%)오른 653.13을 기록하고 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44억원, 1억원 순매수 중이고 외국인은 62억원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종이·목재가 3.86%로 상승폭이 가장 큰 가운데 화학, 정보기기, 컴퓨터서비스, 방송서비스, 음식료·담배 등이 1%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인터넷(-1.18%), 오락·문화(-0.97%), 디지털컨텐츠(-0.25%) 등은 하락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등락은 엇갈리고 있다. 코리아나와 씨케이에이치가 각각 14.97%, 10.65%로 크게 오르고 있는 반면 대한뉴팜(-4.15%), 한국정보인증(-3.01%), 안국약품(-2.95%) 등은 하락하고 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2.25원 내린 1100.15원에 거래되고 있다.

2015-04-02 09:47:11 김보배 기자
작년 상장사 순이익 악화…삼성전자 부진 영향

지난해 삼성전자의 매출 부진에 따라 상장사들의 전체 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12월 결산법인 576개사 중 분석이 가능한 496곳의 2014년 실적을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 상장기업 매출액은 1821조4220억원으로 전년보다 0.43% 감소했다. 순이익은 61조1472억원으로 전년보다 6.96% 줄었고, 영업이익은 91조4222억원으로 12.69% 감소했다. 다만 삼성전자를 제외한 상장사들의 매출액은 1615억원으로 전년보다 0.91% 늘었다. 영업이익은 2.25% 감소했지만 순이익은 7.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액은 206조2059억원으로 전년보다 9.83% 감소했다. 순이익은 23조3943억원으로 23.23% 줄었고, 영업이익도 31.97% 급감했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크게 줄면서 전체 상장사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35.1%에서 지난해 27.4%로 줄어들었다. 전체 분석대상 기업 496곳 중 364곳(73.39%)이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고 132곳(26.61%)은 적자를 냈다. 적자 지속 기업이 84곳(16.94%), 적자 전환은 48곳(9.68%), 흑자 전환 기업은 55곳(11.09%)으로 파악됐다. 한편 한국거래소와 코스닥협회가 집계한 지난해 코스닥시장 결산실적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를 낸 코스닥 상장사 671곳의 매출액은 122조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24% 늘었다. 영업이익은 6조원으로 4.31% 감소했고, 순이익은 3조4000억원으로 7.57% 증가했다. 분석대상기업 중 437곳(65.13%)이 흑자, 234곳(34.87%)은 적자를 기록했다. 개별·별도 재무제표를 제출한 940곳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보다 1.0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6.32% 줄었다. 반면 순이익은 전년 2조9000억원에서 지난해 3조6000억원으로 21.60% 급증했다.

2015-04-01 15:10:15 김보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