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의 '청맹과니'] 그릇을 비우는 법
대기만성(大器晩成)이라는 말이 있다.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렇듯 사람은 그릇에 자주 비유된다. 확실히 사람은 그릇과 같은 존재이다. 우리는 각자가 자신의 그릇을 가지고 있다. 이 그릇에는 좋은 것만 담고 싶다. 누군가는 돈과 권력을, 다른 이는 멋진 애인과 아름다운 외모를 담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각자의 그릇은 용량이 있어서, 원하는 것을 모두 담을 수는 없다. 또 그릇에 좋은 것만 담아서도 안 된다. 올바른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그릇 속에 슬픔도 아픔도, 그리고 치욕스런 기억까지 담겨있어야만 한다. 이런 부정적인 경험들이야 말로 우리를 보호하고, 위기에서 구해 줄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얼마 전, 의대생 A씨가 자신의 여자 친구를 잔인하게 살해하는 사건이 터졌다. 세상은 큰 충격에 빠졌다. A씨가 수능에서 만점을 받은 수재였다는 점과, 현재 명문의대에 재학 중이라는 점은 사람들을 더 놀라게 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2018년 당시 A씨는 다른 수능만점자처럼 세간의 관심이 되었다. 지역 단체에서는 장학금을 지급하였고, 학원에서는 수험생을 위한 멘토가 되었다. 수험생들에게 공부방법의 팁을 주면서, 언론에도 몇 차례 소개되기도 했다. 밝은 장래, 수능만점의 명예, 세상 사람들의 부러움, 그리고 예쁜 여자 친구까지... 무엇하나 부족한 점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A씨의 삶이 그다지 행복하지 않았던 것 같다. 친구들과의 대인관계는 썩 좋아 보이지 않고, 유급까지 당했다. 여자 친구는 이별을 통보했다. A씨의 그릇 속에는 무엇이 들어 있었을까? 혹시 자신에게 명예와 장래를 보장해 준 '공부하는 법'만 들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사실 대인 관계라는 것은 어려서부터 여러 친구와의 경험을 통해서 만들어 진다. 때로는 친구와 즐겁게 놀고, 때로는 싸우기도 하면서, 함께 협력하는 방법과 우정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어려서부터 혼자 공부만 하고, 자신의 석차에만 집중하면, 친구는 없고 경쟁자만 남게 된다. 사랑에 대한 것도 마찬가지다. 사랑은 함께 주고받는 것이지, 누군가의 소유물이 될 수 없다는 점은 직접 사랑을 해 보면서 배울 수밖에 없다. A씨의 사건을 보면서, 'A씨의 그릇 속에서 공부를 조금만 비웠으면 어땠을까?'하는 안타까움이 들었다. 그 빈 공간에 우정을 넣고, 사랑을 넣고, 실연의 아픔까지 넣었다면, 이런 비극적인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릇은 채우는 것 보다, 비우는 것이 훨씬 어려운 일이다. '욕심' 때문이다. 자신의 그릇에서 성공과 영광을 일부 덜어내고, 그곳을 실패와 고통으로 채우겠다는 결심은 누구에게도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행복을 위해서 우리는 그릇을 비우는 기술을 연마해야만 한다. 종합격투기 선수였던 김동현 선수가 어느 예능프로에 나와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경기에서 계속 이기면, 영원히 잘 될 것 같다. 그러나 어느 순간, 올라가는 것만큼 아프게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나는 적절한 패배와 깨닫음을 얻을 수 있도록 기도한다." 그가 어떻게 일류선수가 되었는지는 이말 한마디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자녀들에게 '그릇을 비우는 법'을 반드시 가르쳐야 할 것이다. 김준형 / 칼럼니스트(우리마음병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