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경수 교수의 라이프롱 디자인] 장 발장의 기업가 정신을 생각하며
장 발장을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장 발장의 기업가 정신을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장 발장하면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의 주인공,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빵 한 덩어리를 훔쳐야 했던 가난한 사람, 19년 동안 감옥에서 복역한 죄수, 미리엘 주교의 관용과 도움으로 새로운 삶을 얻은 개과천선한 사람, 성공적인 사업가로 변신하여 소도시의 사장이 되고 수백만 프랑의 돈을 은행에 예치한 갑부, 가련한 여성 팡틴의 딸인 코제트를 학대로부터 구출하고 사랑으로 양육했던 아버지 등을 어렵지 않게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장 발장이 어떻게 돈을 벌었는지를 잘 모른다. 무엇보다 그렇게 돈을 버는 활동이 어떻게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는지를 잘 모른다. 또 그렇게 개인이 돈을 버는 것과 사회적 가치가 창출되는 게 상충되지 않을 뿐더러 어떻게 동시적으로 일어나는지는 더 모른다. 빅토르 위고의 「레 미제라블」로 들어가 보자. 시점은 1815년, 그러니까 산업혁명(1760년) 55년 후, 프랑스혁명(1789년) 26년 후 즈음에 몽트뢰유쉬르메르라는 작은 도시다. 영국의 흑옥(黑玉)과 독일의 흑구슬을 본떠서 만드는 공업이 형성되어 있었다지만 원료가 비싸서 임금도 지불할 수 없는 침체된 지역이었다. 장 발장은 이 도시에 몰래 숨어 들어와서는 그 '검은 패물'의 제조법에 전무후무한 변화를 일으켰다. 자연의 진액으로 만드는 수지 대신에 칠 공법을 사용하였고, 팔찌에는 용접한 쇠고리 대신에 쉽게 끼울 수 있는 쇠고리를 개발하였다. 빅토르 위고는 '이 아주 작은 변화는 하나의 혁명이었다.'고 기록했다. 지금 보면 장 발장의 기술혁신은 환경 변화 속에서 발 빠르게 기회를 발굴하고, 혁신적인 사고와 행동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가 정신의 원형에 가깝다. 첨단산업이 발전한 현대의 벤처정신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오히려 ①소비자에게 새로운 품질 도입 ②새로운 생산 방법의 도입 ③새로운 시장의 개척 ④원재료의 새로운 공급원천 추구 ⑤산업내 독점적 지위 창출 등 슘페터 학파의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 5가지 중에서 어느 것 하나 빠진 것이 없다. 빅토르 위고는 이렇게 적었다. 이 아주 작은 변화는 실제로 원료값을 크게 감소시켰고 이로 인해 첫째, 노임을 올려서 그 지방에 혜택을 주었고, 둘째, 제조법을 개선하여 소비자에게 이익이 되었고, 셋째, 훨씬 싼 값으로 팔면서도 수익을 세 배나 올려서 제조자 측에서도 이득이 되었다. 이렇게 하나의 고안에서 세 가지 결과가 생겼다. 장 발장의 기업가 정신은 평생학습을 통해 피어올랐다. 장 발장은 자신의 삶을 개선하려는 강한 의지를 버리지 않았고, 끊임없이 변화와 적응을 추구하였다. 새로운 기술, 시장 동향, 경영 전략 등을 지속적으로 학습함으로써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반성과 성찰을 잊지 않고, 윤리적인 성품을 통해 사람들의 학습에 역할모델이 되었다. 빅토르 위고는 이렇게 말했다. 그가 그토록 비상하게 개량해 놓은 그 공업의 급속한 진보 덕분에 몽트뢰유쉬르메르는 중요한 교역 중심지가 되었다. 굶주리는 사람은 누구든지 거기에 갈 수 있었고, 가기만 하면 틀림없이 빵과 일을 얻을 수 있었다. 아무리 가난한 집에도 조금의 기쁨이 없는 일이 없었다.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