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우리 농촌 스며든 '힐링'...이용객 40만 바라보는 치유농업서비스
미륵사지 인근에는 철쭉이 벌써부터 화사했다. 이름 모를 꽃들도, 미륵산 자락 타고 내려오는 초여름 햇살도 찾는 이를 반기고 있었다. 이른바 힐링이란 말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린 지 못해도 10년은 족히 흘렀다. 대관절 힐링이 무얼까. 지난 29일 전북 익산에 자리한 '우리들의 정원'을 찾았다. 활짝 열려 있는 문으로 들어서는 순간 이미 북적한 도심에서 멀리 벗어나 있었다. 온실 안에서, 바깥의 잔디 주변에서 알록달록 꽃들이 저마다의 산뜻한 향내를 뽐냈다. 비싼 향수 냄새와는 많이 달랐다. 그러고는 족욕에 빠져든다. 식물에서 유래한 천연 아로마가 사용됐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자연을 돌보고 나 자신을 돌본다고 생각해 보세요." 정원 관계자의 설명은 간명했다. 족욕에 취해 잠시 잠을 청해 볼까 하던 차에 바로 옆 비바리움 체험장이 눈길을 끌었다. 주먹만 한 현무암 조각을 갖고 초미니 생태계를 꾸미는 체험이다. 돌 틈에 죽은 이끼와 산 이끼를 고루 채우고 날렵하게 쭉 뻗은 직사각 유리병으로 감쌌다. 새끼 손톱보다도 작은 도둑게가 살 수 있는 공간이 이내 생겨났다. 김대호(아나운서)와 코쿤(작곡가)의 만면에 희색이 가득하던 TV 속 장면이 스쳐갔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치유농업은 몸과 마음에 힐링이 필요한 사람에게, 삶에 지친 국민들께 우리 농업이 건네는 위로"라며 미소 지었다. 이날 권 청장도 전주 본청을 떠나 이곳을 방문했다. 우리들의정원 치유농장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삼기면에 조성돼 있다. 이곳은 1500평(5000㎡) 넘는 부지에 실내교육장, 실외교육장, 정원, 온실, 카페, 휴식시설, 농기계창고, 족욕장 등을 갖추고 있다. 아이를 동반한 가족단위 방문객을 위해 캠핑장도 지원한다. '치유농업'이란 국민의 건강 회복, 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농업·농촌자원을 다각도로 활용해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뜻한다. 정부는 그간 사업모델 10종 보급 등을 지원했다. 그 결과, 국내 치유농업서비스 경험을 위해 다녀간 사람 수가 지난해 기준 도합 34만 명까지 늘었다. 머지않아 세종시 인구를 넘어설 기세다. 전문인력인 치유농업사는 647명 배출됐다. 올해부터는 신체·정신적 질환자를 대상으로 특수목적형 치유농업도 추진한다. 또 아동·청소년, 초등학생(늘봄학교), 교육·의료기관 종사자 대상의 서비스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진청은 이 부문을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한다는 정책 목표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