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전 국민 금융이해력 2년새 소폭 하락
전 국민 금융이해력이 2022년과 비교해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별로는 노후준비와 자산운용에 관심이 많은 50~60대, 고소득층의 이해력은 상승했지만 청년층(20대)과 노령층(70대), 저소득층의 이해력은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만18~79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5.7점으로 2022년(66.5점)과 비교해 소폭 하락했다. ◆ 장기 재무목표 '자산증식'…노후·결혼 준비는 뒷전 부문별로 보면 금융지식과 금융행위는 2년 전과 비교해 하락했지만 금융태도는 상승했다. 금융지식 점수는 73.6점으로 2022년(75.5점)과 비교해 1.9점 낮아졌다. 금융지식은 소비자가 금융상품이나 서비스를 비교하고,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금융지식 보유정도를 말한다. 항목별로 보면 이자 개념(96.7점)에 대한 이해는 높았지만 복리 이자 계산(44.9점)에 대한 이해는 낮았다.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은 이해도 점수가 56.6점으로 같은기간 21.7점 떨어져 금융이해력 점수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은 관계자는 "2022년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가 지난해 예년 수준으로 떨어졌다"면서 "물가상승률이 둔화하면서 인플레이션 관심도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행위 점수는 64.7점으로 2년 전(65.8점)과 비교해 1.1점 하락했다. 금융행위는 재무목표를 설정하고 소득과 지출을 관리하는 행위를 말한다. 항목별로 보면 소비자는 저축활동(98점)과 가계수지 적자 해소(88.7점), 예산관리(82.1점)에는 적극적인 반면 평소 재무상황 점검(43.4점), 장기 재무목표 설정(42.5점) 등 재무관리에는 소극적이었다. 중요한 장기 재무목표로는 ▲주택구입(25.8%) ▲자산증식(19.9%) ▲결혼자금(13.9%) 등이 꼽혔다. 다만 자산증식은 2년전(7.3%)과 비교해 응답비중이 크게 증가했고, 노후대비, 결혼 자금, 교육비, 학자금 등은 감소했다. 금융태도는 소폭 개선됐다. 금융태도는 소비와 저축, 현재와 미래, 돈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로 저축이나 미래를 선호할 수록 평가점수가 상승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태도는 53.7점으로 2022년(52.4점)과 비교해 1.3점 상승했다. 항목별로는 소비보다는 저축을 선호하고, 현재보다는 미래를 선호하는 태도가 같은 기간 상승했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저소득층이나 저학력층의 금융태도 점수가 중·고소득층과 고학력층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금융이해력, 계층간 격차 축소 우리나라 성인의 디지털 금융이해력 점수는 45.5점으로 2022년 조사(42.9점)와 비교해 2.6점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금융지식(55.5점), 금융행위(41.8점), 금융태도(40.4점)등 모든항목에서 고르게 상승했다. 디지털 금융이해력은 시간이 지나면서 계층간 격차가 축소되는 모습이다. 연령별로 보면 70대의 디지털 금융이해력이 42.2%로 2년전(36%)와 비교해 6.2%P 올랐다. 2022년에는 연령중 70대만 30%대였지만 2024년에는 모든 연령이 40%를 넘어섰다. 저소득층(39.4%→ 42.9%)과 저학력층(35.9%→ 42%)의 디지털 금융이해력도 개선됐다. 한은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금리 등 실생활과 밀접한 금융지식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고 적극 홍보해나가겠다"며 "금융행위 부분은 청년층을 대상으로 일대 일 재무상담을 진행하고 e-금융교육센터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금융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