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계좌·대출 막아줘요"…안심차단 신청 폭증
SK텔레콤(SKT)의 유심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하면서 금융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유출된 개인정보가 악용될 경우 명의도용에 의한 금융사기 등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과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이 폭증하고 있다. 5일 금융당국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은 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비대면 계좌개설·여신거래 안심차단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는 모든 금융기관의 비대면 계좌계설과 대출 실행을 일괄 차단하는 것이다. 개인정보 유출로 본인도 모르게 발생하는 부정 금융거래를 사전에 막을 수 있다. 지난달 21일 SKT의 해킹 사고가 알려진 이후 스스로 금융사기를 예방하려는 소비자들의 안심차단서비스 가입 신청이 급증하고 있다.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 서비스의 경우 4월 21일 이전까지 일평균 4500명이 신청했었다. 사고 이후 4월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약 35만명의 가입이 몰렸다. 파장이 커지면서 28일에는 하루에만 29만2300명이 신청했다. 4월 28일 기준 누적 신청은 50만7400명으로 집계됐다. 사고 이전까지 15만명대에서 일주일 만에 35만명 넘게 폭증한 규모다.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의 경우 4월 21일 이전까지 일평균 2300명이 신청했었다. 사고 이후 22~28일 동안 약 45만명이 몰렸다. 28일에는 하루에만 40만5700명이 신청했다. 4월 28일 기준 누적 신청은 88만300명으로 집계됐다. 사고 이전까지 42만명대에서 일주일 만에 두 배 넘게 급증했다. 이번 해킹사고 이전에는 40대 이하의 비중이 약 22%를 차지한 바 있다. 사고 이후에는 청년층이 신청이 급격하게 늘면서, 전체 신청 인원 중 40대 이하의 비중이 약 65%를 차지했다. 안심차단은 보이스피싱이나 명의도용 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사전에 특정 금융거래를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다.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은 모든 금융회사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수시입출식 계좌가 개설되는 것을 일괄 차단한다. 여신거래 안심차단은 신용대출, 담보대출, 카드론, 할부·리스, 서민대출 등 모든 개인 대출을 일괄 차단한다. 가입 방법은 거래 중인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은행 모바일앱으로 신청 가능하다. 대상 금융사는 은행, 저축은행, 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산림조합, 우체국 등이 있다. 서비스 해제는 기존 거래 여부와 관계없이 가까운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해 가능하다. 서비스를 해제하면 곧바로 해당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필요한 금융거래 이후 서비스에 재가입하는 것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