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전반기 LG, 김기태 하차 연장 6연패 시련
▲ 김기태 감독 자진사퇴 올 시즌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김기태 감독이 지난 4월 23일 자진 사퇴를 발표, 계약 기간 3시즌을 마치지 못하고 팀을 떠났다. 쉽게 예상치 못했던 일이었다. 무엇보다 김 감독은 지난해 LG를 11년 만에 포스트시즌에 진출시켰다. 모래알 조직력을 단단한 바위로 만들었고, 선수들에게 '우리도 이길 수 있다'는 용기를 심었다. LG 선수들 모두 김기태 감독과 긴 시간을 보내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LG는 올 시즌을 앞두고 김 감독의 지도력을 앞세운 강력한 4강 후보로 꼽혔다. 하지만 LG는 예상과 달리 추락을 거듭했고, 김 감독은 성적에 대한 부담을 이겨내지 못했다. 프런트와 엇박자, 선수들이 부정적 여론에 휘말리는 것에 대한 아쉬움도 컸지만, 자진사퇴의 가장 큰 이유는 성적부진이었다. 김 감독 사퇴 당시 LG는 4승 13패 1무로 최하위였다. 이렇게 김기태호는 순식간에 표류했고, LG 또한 새 감독이 사령탑에 오르기까지 혼란에 빠졌다. ▲ '6연패' 연장 악몽 올 시즌 LG 부진의 시작은 거듭된 연장전 패배였다. LG는 4월 8일 사직 롯데전서 12회 끝에 무승부를 했으나, 이틀 후 다시 연장에 들어갔고 10회말 히메네스에게 끝내기 홈런을 허용했다. 결과적으로 이날 패배가 연장 6연패의 시작이 됐다. 특히 4월 13일 잠실 NC전 연장전 패, 4월 15일 잠실 넥센전 연장전 패는 LG를 최하위로 몰아넣었다. 위닝시리즈로 반등을 노렸던 4월 19일 한화와 올 시즌 두 번째 경기도 연장전 끝에 패했다. 그리고 다음날 경기도 놓치며 루징시리즈, 반전은 저 먼 곳으로 날아갔다. 4월 23일 대구서 김기태 감독의 충격적인 자진사퇴 발표 후 다음날에도 LG는 연장전서 고개를 숙였다. 5월 7일 잠실 한화전 연장 패는 전날 이병규(9번)의 2000안타 달성으로 고취되어 있던 분위기를 꺾어버렸다. 연장전은 자연스레 마운드 소모로 이어진다. 특히 시즌 초반 선발진과 불펜진이 모두 흔들렸던 LG는 이를 바로잡을 겨를도 없이 마운드가 붕괴되고 말았다. 5월 13일 양상문 체제가 시작되기 전까지 LG는 총 7번의 연장전서 1무 6패를 기록했다. ▲ 반등 시작 양상문 감독 부임 김기태 감독이 팀을 떠난 지 20여 일이 지났고, LG는 5월 11일 후임자로 양상문 감독 선임을 발표했다. 이후 양 감독은 빠르게 LG를 안정시켰다. LG는 양 감독 체제 첫 경기인 5월 13일 잠실 롯데전부터 7월 16일 삼성전까지 25승 21패, 승리하는 팀으로 변했다. 시작은 마운드였다. 현역시절 국가대표 투수이자, 투수 박사로 꼽히는 양 감독은 원포인트 레슨을 통해 빠르게 LG 마운드를 재건했다. 퇴출 위기였던 코리 리오단을 이닝이터로 변모시켰고, 정찬헌·윤지웅·신재웅은 불펜진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시즌 시작부터 고전했던 류제국도 에이스의 모습을 되찾고 있다. 병살타 악몽에 시달렸던 타선도 자리를 잡고 있다. 오지환의 테이블 세터, 이병규(7번)의 클린업 트리오 전환은 대성공이다. 조쉬 벨을 대체한 스나이더가 4번 타자로 맹타를 휘두른다면, 득점력 상승도 불가능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