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웅의 인문학산책] 태양의 애무
별로 수줍지 않은 표정이다. 살며시 보여주는 것도 아니었다. 또는 은밀하게 감추어두었던 몸이 행여 드러날까 조심하는 기색조차 없다. 태양의 시선이 각도를 바꾸자, 아무래도 자신감이 생긴 모양이다. 어쩌면 거침없다는 느낌을 줄 정도로 자신의 미모를 활짝 공개한다. 도발적이기까지 하다. 서로 무척 닮았으나 각기 다른 미소를 짓고 있는 꽃들이 온 세상을 기적의 화원(花園)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봄은 어느새 경쾌한 발걸음의 정원사가 된다. 간밤에 비가 내리쳐 이 아름다운 풍경이 망가질까 하는 걱정도, 아침이 부드럽게 열리면서 말끔히 가셨다. 창문으로 스며드는 햇살은 나에게 오기 전 이미 꽃들을 어루만진 애무(愛撫)의 손길이다. 그래서인지 그 손끝에서 벚꽃 향기가 난다. 어루만질 '무(撫)'라는 한자는, 없을 무(無)에 손 수(手)가 합쳐진 글자다. 있지도 않은 것을 만진다는 것인지, 또는 뭔가 없어질 때까지 어루만진다는 것인지 뜻 해석에 장난기가 발동한다. 물론 없을 '무'는 이 글자의 소리를 받쳐줄 뿐이나, 따지고 보면 사랑으로 어루만지는 것은 세상의 근심과 염려, 아픔과 외로움을 사라지게 하는 영혼의 마술이 되지 않으려나 싶다. 태양의 애무는 그렇게 지상에 꽃을 피운다. 차갑게 굳어있던 흙 속에 뿌리를 내린 나무들은 단잠을 자고 깨어난 기분에 잠긴다. 그리고는 따뜻해진 자신의 몸에서 겨우내 숨겨놓은 비밀을 꺼내 보여준다. 바람 불어 외투를 걸치고 있던 투박한 육신에서, 이토록 화사하기 그지없는 빛이 뿜어 나올지 누가 미처 짐작했겠는가? 냉기에 대한 두려움이 소멸한 존재의 확신을 입증하는 순간이다. 그 꽃들을 피워낸 손길에 온 몸을 내맡기는 사람들도 생명의 기력이 마음과 몸에 차들어 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건 이내 인간, 그것도 춤추는 자의 체온이 된다. 꽃 춤이다. 우리도 언 땅에 발을 딛고 살다가, 우주 저 멀리에서 타오르는 거대한 횃불이 예까지 이르러 나의 살과 뼈, 그리고 영혼의 온도까지 변모시키는 걸 그제야 깨닫는다. 매번 익숙하면서도 여전히 낯선 계절에 대한 설렘이, 밤새 누구도 모르게 키가 자라는 야생초처럼 아주 미세하게 몸 속 저 깊숙한 곳에서 흔들리며 올라온다. 변신을 준비하라는 모양이다. 모든 것이 뒤범벅이 된 카오스의 강을 건너 생명의 땅으로 들어서는 기쁨이다. 아, 꽃은 내 안에서도 피어나고 있구나. /성공회대 교수